US History 입체 노트정리 마지막 키워드 : 1980년대, 도덕적 다수 (Moral Majority)

by help posted Feb 05,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US History 입체 노트정리 마지막 키워드 : 1980년대, 도덕적 다수 (Moral Majority)

 

소피아의 <오늘, 다시 읽는 미국사> 칼럼이 US History의 AP 및 SAT Subject 테스트를 앞둔 수험생들을 위한 학습 팁 시리즈로 연재중입니다. Social Studies에서 주어진 텍스트를 입체적으로, 그리고 능동적으로 이해하는 습관을 가지기를 원하는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2012년 대선, 동성 결혼 합법화라는 변수 

 

지난 5월 9일ABC의 굿모닝 아메리카에 출연한 오바마 대통령이 “동성간 결혼을 지지한다”는 (정확히는 “I’ve just concluded that for me personally it is important for me to go ahead and affirm that I think same-sex couples should be able to get married,”) 발언을 한 이후 최근 뉴스에는 이 발언이 다가올 대선, 오바마 대통령의 재선에 끼치게 될 영향을 다루는 기사가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있다. 


가령, 현재 공화당의 대선 예비 후보 중 선두를 달리고 있는 미트 롬니는 “결혼은 남녀 간의 결합”임을 다시 강조했는데 이어 실시된 뉴욕 타임즈 등의 여론 조사는 롬니 지지율이 오바마 대통령의 지지율을 역전했(었)다고 한다. 

또한 어제는 전미 유색인종 지위 향상 위원회 (NAACP)가 동성애 커플이 결혼할 권리는 (과거 흑인들의 투표권과 같은) 공민권 (Civil Right) 의 문제인 만큼, 오바마의 발언을 지지한다고 나선 반면, 흑인 종교 지도자들을 포함한 기독교계는 동성 결혼 합법화의 지지여부를 둘러싸고 갈등 중이라고 한다. 


이쯤해서 질문. 동성 커플의 결혼 같은 법적 권리에 대한 대선 후보들의 입장이 대통령 선거전에 이토록 떠들썩한 영향을 끼치는 현재 현상은 무엇이라고 이해해야 할까? 


오바마 본인은 “동성애에 대한 나의 입장은 진화하는 중”이라고 밝혀오긴 했지만, 지난 대선이 치러지던 2008년에도 이미 “남에게 받기를 원하는 대로 남에게도 행하라”고 가르치고 있는 신약성경 산상 수훈을 들어 성적 소수자들이 그들의 성적 지향성으로 인해 법적인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었고, 이번 발언이 새로운 입장은 아니다. 

게다가 보수적인 결혼관대로 결혼은 전통적인 의미의 남녀간 결합이라고 명시한 DOMA (Defense of Marriage Act of 1996)조차, 각 주가 법적 절차를 밟아 동성 결혼을 합법으로 인정하고자 한다면 그 권한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매사추세츠를 포함한 여섯 개 주가 현재 동성간 결혼(과 그를 통해 구성된 가족)을 법적으로 차별하지 않는다. 오바마 역시 본인의 개인적인 지지여부와 관계 없이 동성결혼을 합법적으로 인정하는 문제는 각 주의 권한이라고 이야기했으니, 그의 발언의 효과는 실제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수사적이고 상징적인 데에 있지 않은가!

1980년대, “도덕적 다수”론 


“동성애 결혼에 찬성하십니까?” “낙태에 찬성하십니까?”와 “줄기 세포 연구에 찬성하십니까?”와 같은 질문들은 21세기 정치 여론 조사에서 장수하는 단골아이템들이다. 


위의 질문들에 단호하게 No라고 단호하게 대답한다면 골수 공화당 지지자로 간주하게 되는 현상의 뿌리는 1980년대다.


두 번에 걸친 레이건 당선과 아버지 부시의 당선에 이르기까지 1980년대 미국은 보수적 공화당의 화려한 복귀 무대로 기록될 만하다. 알려져 있다시피“작은 정부”를 들고 나온 레이건은 1980년 선거에서 연방정부의 과도한 개입, 마이너리티 우대, 관료들의 엘리트주의, 사회 복지 시스템과 소수계 적극적 우대 정책 (Affirmative Action)등을 비판하고 나왔다. 

그런데, 레이건의 초선과 재선은 그의 “작은 정부”론으로만 환원해서 이해할 수 없다. 당시 기독교 근본주의 세력이 공화당 신우파 (The New Right)에 결합하면서 공화당의 가치=가족 중심성과 전통의 회복 이라는 식으로 확고히 자리잡았는데, 이 현상은 레이건 이후 공화당 지지자의 혹은 보수주의자의 정체성과 기독교 근본주의와 강한 연결고리를 형성하는 배경이 되기도 한다. 

여기서 1980년대 기독교 근본주의의 신우파 지원을 주도했던 것이 바로 제리 폴웰(Jerry Falwell)이 이끌었던‘도덕적 다수(Moral Majority)' 운동이다. 도덕적 다수주의자들은 첫째 1960년대~70년대 마이너리티의 운동의 성장에서 종교의 위기를 느꼈다. 이들은 성적 소수자의 운동 (Gay Right Movements)과 페미니즘 운동 등이 미국에서 가족해체의 주범이라고 주장하면서 “가족 중심성” 그리고 “전통”을 회복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한편, 도덕적 다수주의자들은 1960년대~70년대 대법원의 “진보적” 판결에 대해서도 반발했다. 임신한 여성의 임신 중단 권리와 사생활 보호를 주장한 Roe v. Wade 판결 (1973) 혹은 공립학교에서의 기도는 정교 분리를 명시한 수정헌법 제 1조에 위배된다고 판결한Engel v. Vitale (1962)는 청교도적 정신에 기반한 미국의 정체성을 위협하는 주범이라고 봤다. 일부는 공립학교에서 진화론을 가르치려면 창조론도 함께 가르치는 것이 평등하다고 주장하기도 하고 세속화된 인본주의, 좌파에게 점령당한 대학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1980년대 이후 각 정당에 대한 지지는 사회-정치-경제적인 요소 못지 않게 개인의 도덕-종교적인 ‘가치’에 대한 정체화이기도 했다. 그렇다면 도덕, 문화적으로 보수적 기독교인이지만 부자 증세와 복지 확대를 주장하고 싶은 미국인이라면 (혹은 그 반대의 조합이라면) 어느 정당에 투표하는 것이 합리적일까? 혹시, 미국인의 정치적 선택과 상상력은 30여 년 전 ‘도덕적 다수’가 만들어 둔 프레임에 갇혀버린 것은 아닐지.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