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 로그인
  • 회원가입
  •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 About WisePrep
    • Philosophy
    • Testimonials
    • Our Students
  • Academy
    • Courses
    • Schedule
    • Academic Calendar
  • Consulting
    • College Acceptance
    • Admissions Counseling
  • 2020 Summer (Online)
    • 카톡오픈챗
    • Writing Clinic
    • Summer SAT/ ACT
    • Private Tutoring
  • Education
    • SAT
    • ACT
    • AMC
    • Computer Science

서브페이지

T기본글꼴
  • 기본글꼴✔
  • 나눔고딕✔
  • 맑은고딕✔
  • 돋움✔
✔ 뷰어로 보기
2016.02.09 13:09

AP 준비? 에세이를 즐겨라! (1)

help
조회 수 1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가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가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AP 준비? 에세이를 즐겨라! (1)

 

“몇 시간 수업을 들으면 AP US History 를에서 만점을 맞을 수 있나요?” 공립학교의 봄방학을 앞두고 종종 듣는 질문이다. 전체 시험 분량을 몇 개의 유닛으로 쪼개고, 각 유닛에서 중요하다는 “요점”을 정리하는데 소요되는 대략의 시간, 다시 테마별로 전체를 훑어보는데 필요한 시간, 그리고 과 문제 풀이를 위한 시간을 더하면 대강의 시험준비를 기계적으로 마칠 수 있는 시간이 계산된다. 그러나 “수업시간은 몇시간 잡으세요”라는 대답은 항상 편치 않다.

그 간 성실히 공부해 온 많은 학생들이 마무리 정리를 할 때라면 당연히 시험 준비에 필요한 기계적인 시간은 물론 있다. 하지만, 역사는 컨베이어 벨트에서 찍어내듯 대량 생산될 수 있는 무엇이 아니라, 과거의 사건과 사유들에 대해 끊임없이 어떤 종류의 “의미”를 재 부여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앞 뒤 사고 생략한 채 “크램” 과정으로 역사를 공부하는 것은, AP의 역사과목들이 원래 의도와는 다소 거리가 멀뿐만 아니라, 에세이라는 복병때문에 만점을 받는 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작년에 가르쳤던 한 학생의 사례를 잠깐 소개한다. 활발한 과외 활동에다가 만만치 않다고 소문난 학교의 GPA 관리로 바빴던 그는 AP 준비에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따라서 본인이 취약한 에세이 (Document Based Question & Free Response Question)만을 필자와 함께 공부하겠다고 찾아왔다. 그에게 미국의 건국기에 대한 몇 가지 질문을 던져 보고 나서 중요한 내용들을 전혀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안타깝게도 배운지 몇 달이 흘러버리는 동안 머리속에 남게 된 정보는 상당히 불완전한 것이었음을 간파할 수 있었다. 이 학생과는 만날 때 마다 꽤 많은 내용을 약 2배속으로 (!) 정리한 후, 각 유닛에 대한 기출 에세이를 써오게 하는 식으로 공부를 했다. 시간의 한계로 뒷부분을 마저 정리하지 못한 것이 마음에 걸리고 아쉬웠는데, 그래도 만점을 받았고 최근에는 원하는 대학에도 합격했다는 기쁜 소식을 전해왔다.

필자가 이 학생에게 에세이의 “정답”을 콕 찝어줬을까? 함께 아웃라인을 잡았고, 논거를 고민했고, 또한 좋은Thesis에 대한 의견을 나누기는 했지만 에세이에는 정답이 없다. 좋은 에세이와 학습이 되지 않은 함량 미달의 에세이가 있을 뿐이다. 역사 에세이에서 좋은 에세이는 영어실력의 문제라기보다 생각의 문제와 학습의 문제다. 즉, 좋은 에세이를 쓰려면 연습을 해야한다. 그것도 “능동적으로” 연습 해야 한다. 아무리 명 강사라해도 강의자에 의해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지식은 수명이 짧다. 하지만 좋은 에세이를 쓰기 위한 연습의 과정에서 스스로 필요한 논거를 찾아내고 조직화하는 과정은 생각보다 어마어마한 학습 효과가 있다.

다른 학생들의 경우에도 적어도 2월에 AP 준비를 시작한 학생들은 2월~3월 동안 한 유닛씩 학교에서 과거에 배웠던 내용들을 정리하면서 유닛별로 한 두개의 기출 에세이를 써보는 연습을 하도록 유도했다. 에세이 하나를 연습하는 데 때로는 하루를 통째로 써야했던 어떤 학생은 초반에 “과연 실전에서 정해진 시간 안에 에세이를 쓸 수 있을까요? 빨리 진도를 빼야하지 않나요?”라는 불안감을 보이기도 했었다. 하지만 아직 연습할 시간이 있다면 더뎌보이는 이 방법이 결코 더디지 않다. 여름 방학 동안 선행으로 AP US History의 굵직한 흐름을 미리 공부한 또 다른 학생 역시 “에세이로 써본 것만큼 제대로 기억이 나더”고 이야기 했다. 물론 어지간한 내용정리를 병행하지 않았다면 에세이에 착수할 생각은 못했을 것이다. 그러니 “배우고 또 그것을 때때로 익힐 때” 학문은 비로소 즐거운 법이다. 

그런데 에세이 연습을 통해 AP 시험을 준비하라는 조언은 단지 에세이가 AP 시험 점수를 결정하는 일부이기 때문이라거나, 혹은 내용을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 때문만은 아니다. 대개 AP시험의 역사 과목에서 출제되는 Document Based Question이나 Free Response Question 들은 질문을 곱씹는동안, 수험자가 지금껏 배운 역사 “지식”에 대해 비판적 사유를 해볼 수 있도록 정교하게 고안된 질문들이다. 즉, 에세이를 통해 답변을 해보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역사는 “암기해야할 것들의 리스트”가 아니라 지금, 여기의, 우리의 사고와 상호 작용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어쨌거나 내가 제시한 전략은 AP US History뿐만 아니라 AP European History 나 AP World History를 수강하는 학생들 모두에게 해당하는 전략이다. 만약 당장 AP 역사과목의 준비 전략이 막막하다면, 굵직굵직한 큰 그림 그리기  3~4챕터를 묶어서 리뷰하기  공부한 내용과 연관되는 주제의 에세이 연습  테마별 (정치, 영토, 경제, 법 등) 정리  객관식 문제 풀이 연습  마지막 정리 정도의 흐름으로 정리해나가면 필자와 같은 사교육 업자의 도움에 크게 의존하지 않고도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주 부터 4월 말까지 매 주 하나의 에세이 주제를 함께 사유해보기로 하자. 
 

Prev AP 준비? 에세이를 즐겨라! (2) : 식민지시대 (1607~1776)의 큰그... AP 준비? 에세이를 즐겨라! (2) : 식민지시대 (1607~1776)의 큰그... 2016.02.09by help 꼬리에 꼬리를 무는 “독트린” Next 꼬리에 꼬리를 무는 “독트린” 2016.02.09by help
0 추천 0 비추천
Facebook Twitter Google Pinterest KakaoStory Band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에디터 선택하기
✔ 텍스트 모드 ✔ 에디터 모드
?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 List
  • Zine
  • Gallery
  1. No Image

    AP 준비? 에세이를 즐겨라! (6) : 이것은 만화가 아니다

    Date2016.02.09 Byhelp Views254
    Read More
  2. No Image

    AP 준비? 에세이를 즐겨라! (5) : 1차 문헌 (Primary Sources)

    Date2016.02.09 Byhelp Views157
    Read More
  3. No Image

    AP 준비? 에세이를 즐겨라! (4) : 건국기 (1776~1803), 정치 철학의 용광로

    Date2016.02.09 Byhelp Views186
    Read More
  4. No Image

    AP 준비? 에세이를 즐겨라! (3) : How Revolutionary is the American Revolution?

    Date2016.02.09 Byhelp Views973
    Read More
  5. No Image

    AP 준비? 에세이를 즐겨라! (2) : 식민지시대 (1607~1776)의 큰그림 보기

    Date2016.02.09 Byhelp Views222
    Read More
  6. No Image

    AP 준비? 에세이를 즐겨라! (1)

    Date2016.02.09 Byhelp Views155
    Read More
  7. No Image

    꼬리에 꼬리를 무는 “독트린”

    Date2016.02.09 Byhelp Views167
    Read More
  8. No Image

    오펜하이머와 사하로프

    Date2016.02.09 Byhelp Views156
    Read More
  9. No Image

    텍사스

    Date2016.02.09 Byhelp Views165
    Read More
  10. No Image

    1950년대에 성장한 소아의학의 이데올로기

    Date2016.02.09 Byhelp Views159
    Read More
  11. No Image

    헬렌 켈러, 희망의 아이콘에게서 삭제된 68년

    Date2016.02.09 Byhelp Views177
    Read More
  12. No Image

    역사 인식과 습관의 프레임

    Date2016.02.09 Byhelp Views194
    Read More
  13. No Image

    치킨게임이 되어버린 1830년대 은행 전쟁 (Bank War)

    Date2016.02.09 Byhelp Views158
    Read More
  14. No Image

    보수에 관하여 : 대법원장 얼 워렌 (Earl Warren, 1891~1974)

    Date2016.02.09 Byhelp Views174
    Read More
  15. No Image

    하버드의 숨겨진 역사, 하버드의 드러난 역사 (2)

    Date2016.02.09 Byhelp Views185
    Read More
  16. No Image

    하버드의 숨겨진 역사, 하버드의 드러난 역사 (1)

    Date2016.02.09 Byhelp Views200
    Read More
  17. No Image

    대선 지도 (Presidential Election Map)로 보는 역사

    Date2016.02.09 Byhelp Views476
    Read More
  18. No Image

    종교개혁과 미국사의 평행 읽기 (2)

    Date2016.02.09 Byhelp Views114
    Read More
  19. No Image

    종교개혁과 미국사의 평행 읽기 (1)

    Date2016.02.09 Byhelp Views148
    Read More
  20. No Image

    정당의 탄생

    Date2016.02.09 Byhelp Views156
    Read More
쓰기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logo
  • Home
  • 오시는 길
375 Concord Ave. STE 103 Belmont, MA 02478
COPYRIGHT © WisePrep ALL RIGHTS RESERVED.
관련사이트
  • College Board
  • ACT
  • ETS(TOEFL)
  • SS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