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 로그인
  • 회원가입
  •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 About WisePrep
    • Philosophy
    • Testimonials
    • Our Students
  • Academy
    • Courses
    • Schedule
    • Academic Calendar
  • Consulting
    • College Acceptance
    • Admissions Counseling
  • 2020 Summer (Online)
    • 카톡오픈챗
    • Writing Clinic
    • Summer SAT/ ACT
    • Private Tutoring
  • Education
    • SAT
    • ACT
    • AMC
    • Computer Science

서브페이지

T기본글꼴
  • 기본글꼴✔
  • 나눔고딕✔
  • 맑은고딕✔
  • 돋움✔
✔ 뷰어로 보기
2016.03.22 09:44

AP US History 준비, 키워드를 분석하면 길이 보인다 (2)

help
조회 수 10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가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가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AP US History 준비, 키워드를 분석하면 길이 보인다 (2)

 

115042-004-B88D7271.jpg기출 문제 풀이는 문제가 매년 똑같이 출제되기 때문이 아니라, 중요한 내용은 반복적으로, 다른 형태로 출제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가령 다음 예의 제시문은 단 두 줄. 그렇지만 이 문제를 제대로 공부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중요한 요점을 리뷰하는 과정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Questions 1 - 4 refer to the excerpts below.
“We conclude that in the field of public education the doctrine of ‘separate but equal’ has no place. Separate educational facilities are inherently unequal.” 
- Chief Justice Earl Warren, writing the unanimous opinion of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in Brown v. Board of Education of Topeka, 1954


제시문은 유명한 <브라운 대 토피카 교육위원회 (Brown v. Board of Education of Topeka, 1954)>재판의 판결문이다. 이 판결에서 대법원은 “공립학교에서 흑백 인종 간의 분리 교육은 근본적으로 불평등”하기 때문에 위헌이라고 선언했다.

 
1. The Brown decision reversed which of the following earlier decisions?
(A) Marbury v. Madison, which established the principle of judicial review ) 
(B) Worcester v. Georgia, which established that the federal government rather than individual states had authority in American Indian affairs ) 
(C) Dred Scott v. Sandford, which proclaimed that slaves could not be citizens 
(D) Plessy v. Ferguson, which endorsed racial segregation laws

 

그런데 “공교육에서 분리되었으되 평등하다는 논리는 설 곳이 없다”는 문장은, 직접적으로 공공 시설과 교육에서의 인종 분리 정책이 수정 헌법 14조 (시민의 헌법적 정의와 법아래 동등한 권리를 명시) 위반하지 않는다고 주장한 1896년의 Plessy v. Ferguson 판결의 “분리되었으되 평등하다”는 원칙을 정면으로 공격하고 있다. 또한 이로써 브라운 판결은 1950년대와 60년대 흑인들의 민권운동에 기폭제 역할을 하게 된다. 

 

2. Which of the following was the most immediate result of the decision excerpted?
(A) Radicals critiqued government actions as doing too little to transform the racial status quo. 
(B) Education advocates raised awareness of the effect of poverty on students’ opportunities. 
(C) Civil rights activists became increasingly divided over tactical and philosophical issues. 
(D) Segregationists in southern states temporarily closed many public schools in an effort to resist the decision.  

 

위 문제는 그 결과를 질문하고 있다. 브라운 판결은 남부 백인들의 거센 반발에 직면하는데, (D) 에서 기술하다시피 흑백 통합교육에 반대하여 자녀를 사립학교로 전학을 시키는 현상들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버지니아의 Massive Resistance와 리틀락 사건 등의 세부사항을 기억해두면 에세이를 쓸 경우에도 좋겠다. 

 

3. The decision excerpted most directly reflected a growing belief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at the power of the federal government should be used to
(A) promote greater racial justice 
(B) revitalize cities 
(C) foster economic opportunity
(D) defend traditional visions of morality

 

그런데 50년대의 흑인 민권운동은 브라운 판결과 함께 갑자기 튀어나온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2차 대전 중 흑인들은 “미국 시민으로서”의 애국적 의무를 이행하면서 동시에 시민으로서의 동등한 권리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키울 수 있었다. 즉, 1940년대 NAACP의 전략은 수정헌법 14조의 강조를 통해 인종 정의를 확대하는 것이었다. 

 

4. Which of the following sets of Supreme Court decisions demonstrated the strongest continuity with the idea expressed in the excerpt?
(A) Decisions endors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death penalty, such as Gregg v. Georgia 
(B) Decisions limiting affirmative action programs, such as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 Bakke 
(C) Decisions defining individual rights and protections, such as Miranda v. Arizona 
(D) Decisions defining election laws, such as Citizens United v. Federal Election Commission 

 

수정헌법 14조에 따르면 시민들은 법 앞에 평등하다. 백인이건, 흑인이건 혹은 평범해보이는 시민이건 범죄 용의자이건 법의 적용이 차별적이어서는 안 된다. 적법 절차에 관한 판결로, 민권 운동과 무관해보이는 미란다 판결 역시 수정헌법 14조에 근거했다. 또한 1번과 4번 문제를 잘 관찰했다면 파악했겠지만 문제의 선택지에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건국부터 현재까지의 주요 대법원 판례들과 그 맥락, 결과, 중요성 등을 정리하는 학습이 꼭 필요하다. 
 

Prev AP US History 준비, 키워드를 분석하면 길이 보인다 (3) AP US History 준비, 키워드를 분석하면 길이 보인다 (3) 2016.03.22by help AP US History 준비, 키워드를 분석하면 길이 보인다 (1) Next AP US History 준비, 키워드를 분석하면 길이 보인다 (1) 2016.03.11by help
0 추천 0 비추천
Atachment
첨부 '1'
  • 115042-004-B88D7271.jpg,
Facebook Twitter Google Pinterest KakaoStory Band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에디터 선택하기
✔ 텍스트 모드 ✔ 에디터 모드
?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 List
  • Zine
  • Gallery
  1. AP US History 준비, 키워드를 분석하면 길이 보인다 (2)

    Date2016.03.22 Byhelp Views1048
    Read More
  2. AP US History 준비, 키워드를 분석하면 길이 보인다 (1)

    Date2016.03.11 Byhelp Views397
    Read More
  3. 외국인 규제법 및 선동 금지법 (1798): 그 법의 숨은 뜻

    Date2016.02.29 Byhelp Views355
    Read More
  4. 역사전쟁 (2) 터스키기 매독 실험 – 부끄러운 역사를 대면해야 하는 이유

    Date2016.02.10 Byhelp Views471
    Read More
  5. 역사전쟁 (1) 크리스탈나흐트(Kristallnacht): “그럼에도 불구하고 히틀러는…”이 묵인한 폭력을 기억하라

    Date2016.02.10 Byhelp Views261
    Read More
  6. 우드로 윌슨 (Woodrow Wilson): 혁신주의의 빛과 그림자

    Date2016.02.10 Byhelp Views351
    Read More
  7. 헌법 (Constitution) 의 탄생 (2)

    Date2016.02.10 Byhelp Views264
    Read More
  8. 헌법 (Constitution) 의 탄생 (1)

    Date2016.02.10 Byhelp Views356
    Read More
  9. 반이민법

    Date2016.02.10 Byhelp Views245
    Read More
  10. ‘민주적 사회주의자’, 그리고 최근 한 세기의 미국사

    Date2016.02.10 Byhelp Views188
    Read More
  11. 미주리 주州의 탄생 – 분열과 타협, 그리고 분열

    Date2016.02.10 Byhelp Views454
    Read More
  12. 스톤월 인 사건

    Date2016.02.10 Byhelp Views197
    Read More
  13. 피그만 침공: 모든 것이 처음부터 잘못되었다

    Date2016.02.10 Byhelp Views688
    Read More
  14. 1918년: 독감 그리고 전쟁

    Date2016.02.10 Byhelp Views164
    Read More
  15. 언론의 자유 (2) 젱어판결, 펜타곤 페이퍼, 그리고 …

    Date2016.02.10 Byhelp Views320
    Read More
  16. 언론의 자유 (1) 뉴욕타임즈대 설리반 판결

    Date2016.02.10 Byhelp Views766
    Read More
  17. 19세기 아동 노동, 그리고 아직 끝나지 않은 착취

    Date2016.02.10 Byhelp Views2599
    Read More
  18. 더 어려운 듯, 더 쉬워진 개정판 AP US History (6) 장문형 에세이 (Long Essay Question)

    Date2016.02.10 Byhelp Views268
    Read More
  19. 더 어려운 듯, 더 쉬워진 개정판 AP US History (5) 단답형 문제들 (Short-Answer Questions) 2

    Date2016.02.10 Byhelp Views165
    Read More
  20. 더 어려운 듯, 더 쉬워진 개정판 AP US History (4) 단답형 문제들 (Short-Answer Questions) 1

    Date2016.02.10 Byhelp Views403
    Read More
쓰기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logo
  • Home
  • 오시는 길
375 Concord Ave. STE 103 Belmont, MA 02478
COPYRIGHT © WisePrep ALL RIGHTS RESERVED.
관련사이트
  • College Board
  • ACT
  • ETS(TOEFL)
  • SSAT